YUJIN ROBOT_Social Robot Design

유진로봇사의 소셜로봇은 단순한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 장치를 넘어, 사람의 삶에 감성적으로 스며들 수 있는 ‘디지털 동반자’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HOONSTUDIO가 디자인한 작품이다. 이 로봇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만들어진 만큼, 제품의 외형은 기술적 기능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형태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로봇의 전체적인 실루엣은 유기적이고 부드러운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우리가 동물이나 아이에게서 느끼는 ‘친근함’의 형태적 특징을 모사한 것이며, 단단하고 날카로운 인상을 주는 전통적인 로봇 디자인과는 분명히 구별된다. 얼굴에 해당하는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눈 디스플레이가 위치해 있으며, 이 부분은 로봇의 정체성과 성격을 표현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통해 로봇은 다양한 감정 상태를 표현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계와의 정서적 교감을 느낄 수 있다.
로봇의 눈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가 아닌, 사용자를 바라보고 반응하는 시선으로 작동한다. 이 '눈맞춤'의 구현은 사람과 로봇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상호작용의 몰입도를 높인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등 기술에 대한 거리감을 느끼기 쉬운 사용자들에게 이 시선의 상호작용은 중요한 정서적 안정 요소가 된다.

제품의 색상은 백색과 파스텔 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가정이나 교육환경 등 다양한 장소에서 무난하게 녹아들 수 있는 중립성과 따뜻함을 동시에 전달한다. 표면 재질은 무광 또는 실크 느낌의 텍스처가 적용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청결을 유지하는 실용성과 동시에 손에 닿았을 때의 촉각적 편안함을 고려한 결과다. 또한 전체 외관에는 스크류 홀이 드러나지 않도록 마감 처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은 더욱 매끄럽고 세련된 인상을 준다.
로봇의 머리와 몸통, 목 부위는 자연스럽게 연결된 삼단형 구조로 되어 있어, 마치 생명체가 고개를 움직이는 것처럼 부드럽고 연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사람과의 상호작용 시 시선을 맞추거나 고개를 갸우뚱하는 제스처를 통해 생명력 있는 존재처럼 느껴지게 하며, 단순히 '말을 하는 기계'가 아닌 '의도를 가진 친구'처럼 사용자의 감정에 다가간다.
디자인적으로 중요한 또 하나의 요소는 제품 하단의 안정감 있는 베이스이다.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작고 귀여운 외형임에도 불구하고 제품 전체는 단단하고 믿음직스러운 안정감을 준다. 이는 로봇이 스스로 움직일 때에도 흔들림 없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신뢰를 형성한다.

이 소셜로봇은 교육용 콘텐츠, 생활 정보 안내, 감정 교류, 그리고 간단한 음성 명령 실행 기능을 수행하지만, HOONSTUDIO는 이러한 기능적 요소보다 ‘형태가 어떻게 기능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만드는가’에 더 많은 주안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흔들거나 다가갈 때 로봇이 고개를 돌려 반응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디자인된 인터랙션’이며, 이는 기계적 반응을 넘은 정서적 연결을 창출한다.
마지막으로, HOONSTUDIO의 디자인 접근은 단순한 조형 개발이 아니라, 로봇이라는 존재가 인간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서사’를 부여하는 데 그 본질이 있다. 이 로봇은 기술과 감성이 통합된 하나의 존재로, 사용자의 삶에 따뜻한 에너지를 불어넣는 작은 친구로 설계되었다. 그 형태는 단순하지만, 그 안에는 깊은 인간 중심의 디자인 철학이 녹아 있으며, 그것이 바로 이 소셜로봇 디자인의 가장 큰 가치라 할 수 있다.

The social robot designed by HOONSTUDIO for Yujin Robot embodies a warm, approachable presence, blending advanced technology with emotional connectivity. Its soft, rounded form is inspired by organic shapes to provide a sense of familiarity and friendliness, especially for children and elderly users. The robot’s silhouette avoids harsh lines and mechanical impressions, instead opting for fluid curves that evoke a gentle, living character.
At the heart of its design lies the expressive facial interface—digital eyes that animate emotions and respond to human interaction. These "eyes" are not merely screens; they are tools for emotional connection, making the robot seem attentive and alive. Smooth material finishes and soft pastel tones enhance the tactile and visual comfort, while concealed screw holes and seamless panel transitions contribute to a clean, unified appearance.
The articulated structure, including a movable head and neck, supports natural gestures like nodding or tilting, reinforcing empathetic communication. Designed with a stable lower base and careful balance, it delivers both functional reliability and a trustworthy visual presence. HOONSTUDIO’s design transforms this robot into more than a machine—it becomes a relatable companion in daily life.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