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스튜디오가 디자인한 LG Display의 Barrot 모델은 급속도로 다문화화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서 언어 장벽을 허물고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차세대 양방향 스마트 디스플레이 솔루션입니다. 이 제품은 특히 정상회담, 국제 회의, 글로벌 기업의 회의실, 공공기관의 안내 시스템, 다국적 전시회, 공항·호텔의 안내 카운터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 가능하며, 실시간 통역 및 정보 전달이 필요한 환경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Barrot는 양면 구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언어로 정보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에는 영어, 다른 한쪽에는 한국어 또는 일본어로 동일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어 이중 언어 기반의 즉각적인 정보 공유와 실시간 번역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이는 기존의 단방향 정보 디스플레이 한계를 넘어서, 실시간 상호작용 기반의 스마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제품은 특히 정상회담과 외교행사, 혹은 다국적 기업의 중요한 회의 현장에서 즉시 통역이 필요할 경우,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참석자들의 이해도와 회의 몰입도를 높여줍니다. 기존 통역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성 통역에 시각적 정보를 더함으로써, 청각적·시각적 정보를 동시 제공하는 복합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기능합니다.

제품 외형은 미니멀리즘을 기반으로 한 직선적이고 현대적인 조형미를 바탕으로, 고급스러운 환경에 적합한 하이엔드 디자인으로 완성되었습니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OLED 패널을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화면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바디는 무광 화이트 컬러와 메탈릭 실버 소재를 조합하여,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기술적 신뢰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Barrot는 기술 통합 측면에서도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중앙에서 텍스트를 실시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IoT 장비 및 외부 서버와의 연동도 고려되어 있어 스마트 빌딩 환경에 쉽게 통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성 인식 시스템과의 연계, AI 번역 엔진과의 실시간 동기화 기능도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다국적 인원이 함께 있는 공간에서도 자동 통역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UI/UX 디자인 측면에서도 세심한 배려가 돋보입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언어별 타이포그래피 특성과 가독성을 고려해 자동으로 조정되며, 긴 문장도 화면 안에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스크롤 및 페이징 기능이 지원됩니다. 또한 간단한 터치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방향 전환, 언어 전환, 밝기 조절 등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운영자의 편의성 또한 높였습니다.

설치 구조 또한 유연하게 설계되었습니다. 기본 스탠드형 외에도 벽면 부착형, 천장 매립형, 테이블 고정형 등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 설치가 가능하며, 각기 다른 장소의 설치 조건과 미관을 고려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후면 포트 구성은 HDMI, USB, LAN, 전원 포트 외에도 무선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장비와의 연결이 원활하며, 케이블 매니지먼트 구조로 인해 실제 설치 시 복잡한 배선을 깔끔하게 숨길 수 있습니다.

제품의 기능 확장성도 매우 우수합니다. 필요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회의 어시스턴트, AI 키오스크, 공공정보 안내 패널 등 다양한 역할로 전환할 수 있어, Barrot는 단순한 정보 전달 장비를 넘어서는 멀티유즈 스마트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지닙니다. 기업이나 기관의 운영 환경에 맞춘 UI 커스터마이징, 언어 추가, 브랜드 컬러 및 로고 삽입 기능도 제공되어, 보다 일관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Barrot 프로젝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술이 언어와 문화를 연결하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허브가 될 수 있음을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이 제품은 디지털 기술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유기적인 결합을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언어로든 명확하고 신속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결론적으로 Barrot는 단순한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글로벌 환경에서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핵심 플랫폼입니다. 다양한 언어, 다양한 문화, 다양한 공간 속에서 사람과 사람, 브랜드와 고객, 기관과 시민을 연결하는 스마트한 창구로써, 국제적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입니다.

LG Display – Barrot: Smart Bidirectional Display

Barrot, designed by HOONSTUDIO for LG Display, is an innovative bidirectional smart display that enables real-time multilingual communication. Designed for use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diplomatic summits, multinational offices, airports, hotels, and public information desks, it bridges language barriers through seamless simultaneous translation display.

Its unique dual-sided screen allows two users sitting face-to-face to receive the same information in different languages at the same time. This real-time translation and dual-view interaction enables more efficient and inclusive communication, especially in multilingual environments.

Barrot combines minimalist aesthetics with premium functionality. Its slim and modern form features a high-resolution OLED panel, adjustable viewing angles, and a blend of matte white and metallic silver finishes for a sleek and professional presence. Designed for integration into smart environments, it supports cloud-based content management, AI translation engines, and voice recognition systems.

In terms of user experience, Barrot features optimized typography for different languages, intuitive touchscreen controls, and a clean cable management system. It offers flexible installation options—freestanding, wall-mounted, or ceiling-integrated—to suit any environment.

Beyond a display device, Barrot serves as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platform—transformable into a smart kiosk, digital signage, or conference assistant. Its adaptability and customizability make it a global communication hub that fosters inclusive dialogue, bridging cultures and languages in real time.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NTIUM Dental Table  (0) 2025.05.20
DENTIUM Dental Lighting  (0) 2025.05.20
ARIBIO The Brain Vibroacoust  (1) 2025.05.20
SAM4S Sapphire POS Terminal  (0) 2025.05.20
AFI_AF120 Pesticide Drone Design  (0) 2025.05.20

덴티움 덴탈 체어에 적용되는 닥터 테이블은 의료기기의 기능성과 함께 조형미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훈스튜디오의 인간 중심 디자인 철학이 고스란히 반영된 작품입니다. 치과 진료 환경은 정밀한 기기 사용과 빠른 업무 동선이 요구되는 만큼, 해당 제품은 기능적 효율성과 감성적 안정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의료 환경에서의 조형성은 단지 외형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심리와 진료 흐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직관성과 시각적 안정감을 고려한 형태 언어를 중심에 두었습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조형적 특징은 부드러운 곡선의 조형미와 상승감 있는 전체 실루엣에 있습니다. 테이블 상단은 하단 지지부에서 자연스럽게 솟아오르는 듯한 형태로,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가벼운 인상을 줍니다. 이러한 형태적 상승감은 의료진에게는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환자에게는 세련되고 위생적인 인상을 전달합니다. 특히, 직선적인 기계 디자인에서 벗어나 곡선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전반적인 분위기가 부드럽고 친근하게 느껴지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는 치과라는 특수 환경에서 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의료진의 피로를 덜어주는 간접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상단 테이블 면은 기존 제품 대비 넓은 면적을 제공하여 다양한 기구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사용성을 확보하였습니다. 부드러운 조형미를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인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기능성과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는 구성입니다. 테이블 오른편에는 별도의 보조 트레이를 배치하여 소형 기구나 디지털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컵 홀더 등 실제 진료 상황에서의 편의 요소들도 일체형으로 통합하였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 중심의 설계 사고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의료진의 사용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충분히 고려한 결과입니다.

디자인 중심부에 위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터치 컨트롤 버튼 패널은 전체 조형의 핵심 포인트로 기능합니다. 블랙 하이글로시 재질로 마감된 이 영역은 주변의 밝은 화이트 톤과 강렬한 대비를 이루며, 시선을 집중시키는 시각적 중심축의 역할을 합니다. 버튼 레이아웃은 대칭성과 간결함을 고려하여 배치되었으며, 각 아이콘은 직관적으로 설계되어 진료 중 빠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의 정보를 선명하게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불필요한 복잡함을 배제하고 직관적인 흐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최소화합니다.

핸드피스 거치대는 사용자 중심의 유연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진료 자세와 손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각의 거치대는 고정된 틀에 얽매이지 않고,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동선과 손의 높이를 고려한 인체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실제 진료 과정에서의 피로도를 낮추고, 더욱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핸드피스 자체를 수납하는 공간 역시 부드럽고 견고한 라운딩 구조를 통해 외관과 기능 모두에서 고급스러움을 전달합니다.

제품의 재질 구성은 위생성과 감성적 만족감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상판은 내스크래치성이 높은 고광택 소재로 마감되어, 의료 공간에서 요구되는 청결 유지가 용이하며, 반사광을 통해 공간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합니다. 특히 전체적으로 밝은 화이트 톤을 기반으로 하되,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조작 영역에는 블랙 포인트를 주어, 기능적 강조와 심미적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이러한 색채 대비는 기능별로 구분된 시각적 계층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복잡한 기능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측면 및 하단 구조 또한 기능과 조형의 균형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었습니다. 유선형의 받침부는 기기의 무게감을 분산시키며 안정된 인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체 구조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인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례감을 조절하였습니다. 또한 하단에서 올라오는 각종 케이블과 기계적 연결 요소들은 모두 본체 내부로 수납되거나 후면부로 정리되어, 의료 공간에서 불필요한 시각적 노이즈를 최소화합니다. 이는 훈스튜디오가 추구하는 클린 & 오거나이즈드 디자인 원칙의 일환입니다.

결론적으로, 본 닥터 테이블 디자인은 단순한 의료기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의료 현장에서의 실제 사용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형적 아름다움과 기능적 효율성을 균형 있게 담아낸 결과물을 제시하였습니다. 유기적인 곡선미와 상승감을 담은 형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위생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소재 구성 등은 이 제품이 지향하는 디자인 가치를 명확히 보여주는 요소들입니다. 이는 의료 환경의 품격을 높이고, 사용자의 진료 경험을 더욱 정교하고 쾌적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며, 기능성과 감성, 기술과 조형이 유기적으로 융합된 대표적인 의료 디자인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The Doctor Table designed by HOONSTUDIO for Dentium’s dental chair exemplifies a seamless integration of sculptural aesthetics and functional usability, reflect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environment. The design embraces a soft, upward-flowing silhouette that conveys a sense of lightness and precision. Its elegant curves create a friendly and calming atmosphere for both practitioners and patients, while the expansive tabletop offers practical space for various instruments without compromising the form’s visual harmony.

A central design element is the digital display and control panel, highlighted by a high-gloss black finish that contrasts with the surrounding bright tones. This provides a visual focal point while maintaining intuitive and symmetrical button arrangements for efficient use. The interface is designed to be instantly understandable, minimizing cognitive load during procedures.

The handpiece holders are designed for flexible angle adjustment, allowing dentists to adapt the tools’ orientation to their specific workflow and posture. The ergonomic structure reduces fatigue and enhances precision. The combination of soft-touch surfaces, hygienic materials, and concealed cabling supports a clean, organized look and reinforces the premium feel of the device.

Overall, the Doctor Table is a refined example of human-centered design, where elegance meets performance in the clinical setting, enhancing both user experience and the professional image of the dental space.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Display Barrot Design  (1) 2025.05.20
DENTIUM Dental Lighting  (0) 2025.05.20
ARIBIO The Brain Vibroacoust  (1) 2025.05.20
SAM4S Sapphire POS Terminal  (0) 2025.05.20
AFI_AF120 Pesticide Drone Design  (0) 2025.05.20

덴티움 덴탈 체어용 조명은 의료 환경이라는 기능 중심의 공간 속에서, 그 자체로 하나의 조형적 존재감을 드러내는 감성적 오브제를 지향하며 디자인되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이 제품을 단순한 조명 기기가 아닌, 공간과 사용자의 감성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해석하였습니다. 치과라는 특수한 환경은 긴장과 불안을 동반하는 공간이기에, 조명의 형태와 표면, 색채, 그리고 조형적 리듬은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디자인의 출발점은 "유기적인 대칭"에 있었습니다. 전면에 배치된 4개의 라이트 모듈은 완벽에 가까운 균형을 이루며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시각적으로 안정된 구성을 제공합니다. 이 네 개의 원형은 단순히 나열된 조명 소자가 아니라, 하나의 유기체처럼 연결되고 흐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각 모듈은 곡선의 흐름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중심부를 향해 수렴되는 시각적 리듬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대칭적 구조는 인체의 균형감각과도 맞닿아 있으며, 치과 진료 상황에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시각적 신뢰감을 제공합니다.

제품의 전체적인 실루엣은 곡면이 강조된 유선형 디자인을 따르고 있습니다. 날카롭거나 기계적인 선을 지양하고, 모든 엣지는 부드럽게 처리하여 친화적이고 감성적인 인상을 줍니다. 조명 장치라는 기계적 성격의 제품이지만, 그 안에 인간 중심의 조형 언어를 담아냄으로써 기능과 감성의 경계를 허문 디자인입니다. 제품 전면부의 중심에는 브러쉬드 메탈 재질의 원형 인서트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하이글로시한 표면과 대비되어 포인트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재질의 대비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고급감과 함께 시선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시각적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핸들은 양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품의 조형적 흐름에 맞춰 유기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단순한 부착물이 아닌, 전체 디자인의 일부로서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조명을 조작할 때 촉각적 만족감과 함께 조형적인 일관성을 경험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후면 또한 기능적인 요소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지만, 통풍구와 조절 다이얼, 각종 라벨링 등의 요소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시각적인 혼란 없이 정돈된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특히 통풍구 디자인은 단순한 슬롯 배열이 아닌 곡면을 따라 리듬감 있게 구성되어 있어, 후면에서도 조형적 완성도를 유지합니다.

색채는 전체적으로 의료 환경에 적합한 청결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화이트 톤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이글로시 마감은 공간 내의 조명과 반사되어 고급스러운 광택감을 연출합니다. 이러한 표면 마감은 감성적 만족감뿐 아니라 위생적인 관리 측면에서도 적합한 선택이었습니다. 제품의 전반적인 조형 언어는 직선보다 곡선, 각보다 볼륨, 기계성보다 유기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훈스튜디오가 의료기기 디자인에서 지향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 철학을 잘 드러냅니다.

결과적으로 이 덴탈 체어용 라이팅은 단순한 조명이 아니라, 하나의 조형 언어로서 공간의 품격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훈스튜디오는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형태를 통해 정서적 경험까지 고려한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의료기기의 기능성과 예술적 감성을 융합한 대표적인 사례로, 기술과 디자인, 인간의 경험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Design Narrative for Dentium Dental Chair Light

The Dentium dental chair light wa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going beyond a functional medical device, transforming it into a sculptural object that harmonizes with the emotional and spatial dynamics of a dental clinic. HOONSTUDIO approached this project not merely as a technical challenge but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medium that connects users to their environment through form, texture, and visual rhythm.

At the core of the design lies the concept of “organic symmetry.” The four circular light modules on the front are arranged in a perfectly balanced, symmetrical layout, evoking a sense of visual stability. Each unit is not isolated but seamlessly integrated into a fluid structure that draws the eye inward to the center. This soft convergence mirrors natural forms, promoting a subconscious sense of harmony for both patient and practitioner during clinical procedures.

The overall silhouette of the light embraces a streamlined, curved geometry. All edges are softened to eliminate any sense of sharpness or cold mechanical impression. This approach ensures that the light fixture feels approachable and comforting—a critical design consideration in the anxiety-prone context of dental treatment.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a brushed metal insert provides a focal point, subtly contrasting with the high-gloss white finish that envelops the rest of the body. This material juxtaposition not only enriches the visual texture but also underscores the precision and quality of the product.

Handlebars are plac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shaped to follow the overall flow of the form. Rather than appearing as add-ons, they are fully integrated into the product’s design language, offering ergonomic functionality while maintaining sculptural consistency. On the rear side, functional elements such as ventilation slots, adjustment dials, and technical labels are carefully aligned to create a clean and ordered appearance. The ventilation design, in particular, features a rhythmic arrangement along the curvature, adding aesthetic depth even to the back of the device.

The product is rendered in a pristine white tone, ideal for medical settings, enhanced with a glossy finish that reflects ambient light to emphasize cleanliness and sophistication. This surface treatment is not only visually refined but also supports hygienic maintenance.

Ultimately, this lighting fixture stands as a refined object that enhances the clinical space through its sculptural presence and emotional sensibility. HOONSTUDIO’s design bridges the gap between technical functionality and human-centered aesthetics, offering a holistic solution that enriches the user experience. The result is a medical device that transcends its utilitarian role to become a thoughtful, integrated element of its environment.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Display Barrot Design  (1) 2025.05.20
DENTIUM Dental Table  (0) 2025.05.20
ARIBIO The Brain Vibroacoust  (1) 2025.05.20
SAM4S Sapphire POS Terminal  (0) 2025.05.20
AFI_AF120 Pesticide Drone Design  (0) 2025.05.20

디자인으로 구현한 치매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 – 아리바이오 ‘헤르지온(Herzion)’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치매는 단순한 질병을 넘어, 개인의 삶과 가족의 일상,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고자, 아리바이오와의 협업을 통해 ‘헤르지온(Herzion)’이라는 혁신적인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디자인을 맡아 진행했습니다.

‘헤르지온’은 약물 치료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개발된, 비약물 치료 기반의 저주파 음향·진동 자극 기기로, 사용자의 전두엽과 측두엽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이 획기적인 기능을 담아내는 데 있어 단순히 외형적 아름다움이 아닌, 기술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형태와 구조를 고민했습니다.

헤르지온의 핵심 디자인 키워드는 ‘일상성 속의 전문성’입니다. 사용자의 대부분이 중장년층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기기 자체가 부담스럽거나 인위적인 느낌을 주지 않도록 유려하고 친숙한 곡선 기반의 형태로 디자인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마에 착용하는 형태의 밴드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강조하였고,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200g의 가벼운 무게와 인체공학적 구조를 채택하였습니다.

디자인의 컨셉은 ‘조화와 자극의 균형’입니다. 인체에 작용하는 음향과 진동은 강렬하지만, 그 전달 방식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외관에서는 의료기기 특유의 냉철한 이미지보다, 따뜻하고 신뢰감 있는 소재와 컬러를 선택하였습니다. 부드러운 촉감의 실리콘 밴드, 반사광이 적은 무광 마감, 심플하고 정제된 LED 인터페이스 등은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헤르지온의 UI 연동 역시 디자인의 주요 고려 요소였습니다.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앱 기반의 조작 체계는,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단순한 인터페이스와 아이콘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제품과 앱 간의 통합적인 사용자 경험이 일관되도록, 색상 체계와 그래픽 스타일, 피드백 방식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또한, 헤르지온의 디자인은 ‘심리적 거부감 최소화’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치매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을 덜기 위해, 기기의 형태와 착용 방식은 일반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외부에서 쉽게 알아볼 수 없도록 패션 아이템처럼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는 사용자 본인의 심리적 안정과 동시에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서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기술을 입은 디자인’이라는 철학 아래, 헤르지온이라는 기기 안에 단순한 형태의 조합이 아닌, 사람의 일상과 건강을 깊이 있게 연결하는 디자인 해석을 담아냈습니다. 특히 의료기기의 영역에서 디자인이 단순한 외형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감정, 사용 맥락, 제품의 신뢰성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아리바이오와의 긴밀한 협업 과정에서 훈스튜디오는 제품 초기 컨셉 스케치 단계부터 실사용자 인터뷰, 프로토타입 테스트, 앱 연동 UI 설계까지 전 과정을 함께 하며, 디자인이 단순한 외형이 아닌 사용성과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헤르지온’은 단지 기능성만으로 평가받는 의료기기가 아닌, 사용자에게 ‘희망’과 ‘회복’을 디자인으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여정 속에서 훈스튜디오는 디자인이 사회적 가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실질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훈스튜디오는 기술과 사람, 환경 사이의 균형을 고민하며,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해 나갈 것입니다.

ealizing New Possibilities in Dementia Care through Design – The Design Story of Aribio’s ‘Herzion’

As Korea enters a super-aged society, dementia has become a critical issue that impacts not only individuals and families but the entire social structure. In response to this societal challenge, HOONSTUDIO collaborated with Aribio to develop the design of an innovative wearable medical device called "Herzion."

Herzion is a non-pharmacological therapeutic device designed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drug-based treatment. It operates by delivering low-frequency sound and vibration stimulation directly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of the brain to support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 designing this breakthrough device, HOONSTUDIO prioritized not only aesthetics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impact and the creation of emotional comfort and trust for users. The goal was to craft a form that would intuitively reflect the device’s medical purpose while seamlessly integrating into users’ everyday lives.

Design That Blends Professionalism into Everyday Life

The core design philosophy of Herzion is “professionalism within everyday life.” Recognizing that the primary users ar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design adopts smooth and familiar curves to avoid feelings of discomfort or artificiality.

The headband-style structure, worn across the forehead, emphasizes a simple and intuitive interface. To ensure comfort during extended use, the device features an ergonomic form and weighs only 200 grams, minimizing strain even for elderly users.

This thoughtful balance between professional functionality and domestic familiarity was essential in developing a product that users would willingly adopt and consistently use as part of their daily health routines.

A Form That Balances Harmony and Stimulation

The core visual concept centers around “balance between harmony and stimulation.” While the sound and vibration stimuli delivered by the device are powerful, the way they are administered must feel natural and non-intrusive.

To reflect this philosophy, HOONSTUDIO selected warm, approachable materials and soft colors, diverging from the typically clinical image of medical devices. The use of matte finishes with minimal reflection, soft-touch silicone, and a clean, minimal LED interface contributes to a calm, reassuring product experience while maintaining full functionality.

This harmony in form not only improves user compliance but also reinforces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evice.

An Integrated User Experience Across Device and App

The integration between the physical device and its mobile application was another key focus of the design process. The Bluetooth-enabled app interface was developed to be as intuitive and user-friendly as possible, especially for non-tech-savvy users.

Icon-based navigation, minimal text, and simple operation allow users to operate the device confidently. To maintain consistency and build brand trust, the visual identity—including colors, iconography, and overall graphic language—was carried across both the hardware and digital platforms.

This holistic approach ensures that Herzion is not just a functional medical tool, but part of a seamless and reassuring health management system.

A Form Designed for Psychological Comfort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designing Herzion was addressing the stigma often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HOONSTUDIO aimed to minimize psychological resistance by creating a product that resembles a general wearable device rather than a conventional medical instrument.

The result is a device that blends discreetly into the user’s daily life without drawing attention. Its appearance avoids evoking discomfort or embarrassment, especially in public settings, thereby preserving the user’s dignity and emotional well-being.

By making the product feel familiar and accessible, the design reduces mental barriers to use and encourages long-term engagement.

Design as a Medium for Social Value

Driven by the philosophy of “design empowered by technology,” HOONSTUDIO infused Herzion with a human-centered perspective that connects its form not only to function but also to purpose and emotion.

From early sketches and user research to prototyping and UI development, HOONSTUDIO was involved in every phase of development. The result is a design that plays an active role in enabling both functionality and a rich user experience.

Through this project, HOONSTUDIO reaffirmed the belief that design can serve as a bridge between science and society—translating complex technologies into accessible, meaningful, and life-enhancing tools.

Herzion is more than a functional healthcare device—it is a symbol of hope, healing, and empowerment for those experiencing cognitive decline.

HOONSTUDIO will continue to offer design solutions that reflect the evolving needs of people and society, creating products that balance functionality, emotional valu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a better and more inclusive future.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NTIUM Dental Table  (0) 2025.05.20
DENTIUM Dental Lighting  (0) 2025.05.20
SAM4S Sapphire POS Terminal  (0) 2025.05.20
AFI_AF120 Pesticide Drone Design  (0) 2025.05.20
CAT POS Design (japen)  (0) 2025.05.20

SAM4S SAPPHIRE POS 단말기는 산업용 기기의 전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미니멀리즘을 기반으로 한 조형성과 기능성이 공존하는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습니다. HOONSTUDIO는 이 제품에 ‘기능을 품은 형태’라는 철학을 적용하여, 기술적 신뢰성과 시각적 감성의 균형을 세련되게 구현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다양한 각도에서 시각적으로 변주되는 형태감을 중심으로, 조형의 깊이와 밀도를 높인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가장 먼저 주목할 요소는 변화감 있는 라인의 적용입니다. SAPPHIRE는 각진 형태와 곡면이 절제된 방식으로 교차하며, 제품을 마주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실루엣과 조형미를 드러냅니다. 이는 단순히 외관의 독특함을 넘어서, 사용자가 POS 단말기를 바라보는 시각적 경험 자체를 디자인 요소로 끌어들인 결과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분할과 전개는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제품이 설치된 매장의 인테리어와도 유기적으로 어우러집니다. 특히 후면의 입체 패턴은 조형적 볼륨감을 제공하면서 브랜드의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시각적 장치로 작용합니다.

제품 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중 폴딩 방식의 적용입니다. 이중 폴딩은 틸트(tilt)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유연한 사용 환경을 제공합니다. 단순한 조절 기능을 넘어 이 구조는 제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슬림하고 단정한 인상을 유지하게끔 설계되었습니다. 폴딩 후 기기가 가지는 컴팩트한 실루엣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도 간결하고 가벼운 인상을 남깁니다. 이러한 조형은 제품의 경량화된 인상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제품 전면에는 15인치 베젤리스 멀티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는 화면 자체가 외곽과 매끄럽게 이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조형적으로도 간결함과 완성도를 제공합니다. 기능적으로는 방수 및 방진 설계를 통해 내구성을 확보하였지만, 그 기능이 외관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제된 마감과 고른 표면 처리를 적용해 디자인 완성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면에서 보여지는 화면과 하단의 베이스가 형성하는 시각적 축은 사용자가 마주할 때 안정적인 균형감을 형성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후면 디자인은 기능성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성을 의도적으로 강조한 부분입니다. 입체적인 텍스처와 리듬감 있는 패턴은 단순한 기기 후면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한 예이며, 이는 타 브랜드 제품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후면 디자인은 제품이 매장 내 오픈된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도 시각적 완성도를 해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어떤 방향에서도 일관된 고급감을 유지합니다.

디자인적으로 주목할 또 다른 부분은 인터페이스 요소의 배치입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동선을 고려하여 포트와 버튼,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하단 또는 후면 가장자리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면과 측면의 조형 흐름이 방해받지 않습니다. 이는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실용성과 미적 조형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입니다. 또한 전체적인 무게 중심과 밸런스는 스탠드의 기울기와 높이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도 기기의 안정성과 일관된 시각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HOONSTUDIO는 SAPPHIRE를 통해, 단순한 POS 기기가 아닌 ‘공간 안의 오브제’로서 제품이 어떤 미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기능을 포장하는 조형이 아닌, 기능을 구조화하고 시각화한 형태는 산업 디자인의 본질적인 해석에 가깝습니다. 이는 결국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접하게 되는 기술에 대한 신뢰와,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지며, 제품을 기억에 남게 만드는 디자인 전략의 핵심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SAM4S SAPPHIRE는 기술, 조형, 사용성을 통합한 완성도 높은 산업용 디바이스입니다.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인상을 주는 조형 설계, 이중 폴딩 구조의 기능적 유연성, 그리고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세부 디테일까지, 모든 요소는 HOONSTUDIO의 디자인 철학이 반영된 결과물입니다. 이러한 디자인 요소들은 SAPPHIRE를 시장에서 독창적인 존재로 부각시키며, 기능성과 조형미를 조화롭게 결합한 산업 디자인의 세련된 사례로 인식되게 합니다.

 

The SAM4S SAPPHIRE POS terminal, designed by HOONSTUDIO, redefines the image of industrial devices through a minimalist and refined design approach. Emphasizing the philosophy of “form shaped by function,” the terminal showcases a sculptural quality where clean lines and soft curves intersect to create a dynamic visual identit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e silhouette of the product changes, providing depth and a sense of movement to an otherwise static device.

A key feature of the design is its dual-folding structure, which supports adjustable tilt angles. This mechanism allows the display to adapt to a variety of usage environments while preserving a slim and compact appearance when not in use. This thoughtful approach not only enhances functionality but also improves space efficiency and maintains a polished visual presence.

At the front, a 15-inch bezel-less touchscreen integrates seamlessly into the body, offering a clean and modern look. The display’s design prioritizes both durability and aesthetics, incorporating waterproof and dustproof features without compromising its sleek appearance. The visual axis between the display and the base ensures compositional balance and stability.

The rear of the terminal is equally considered, with subtle three-dimensional textures and rhythmic patterns that contribute to brand recognition and make the product visually appealing from all angles. Ports and interface elements are carefully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rear to maintain a clutter-free profile. Through this design, HOONSTUDIO positions SAPPHIRE not just as a device, but as a statement piece—functional, elegant, and memorable.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NTIUM Dental Lighting  (0) 2025.05.20
ARIBIO The Brain Vibroacoust  (1) 2025.05.20
AFI_AF120 Pesticide Drone Design  (0) 2025.05.20
CAT POS Design (japen)  (0) 2025.05.20
AFI_Pesticide Drone AF-52 Design  (0) 2025.05.20

HOONSTUDIO가 디자인한 AFI사의 AF-120은 단순한 농업용 기계를 넘어, 기능성과 조형미를 완벽하게 결합한 산업 디자인의 정수라 할 수 있습니다. 약 2.5m 크기의 대형 드론이자, 60리터에 달하는 약제 탱크를 탑재한 AF-120은 시장에서 보기 드문 ‘몬스터급’ 농업 기체로, 고도의 설계 능력과 정교한 조형적 사고를 요구하는 제품입니다. 이러한 과제를 HOONSTUDIO는 기술 중심의 접근만이 아닌, 형태와 구조,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조형적 해석을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AF-120의 조형적 정체성은 강력함과 안정성의 시각화에 있습니다. 대형 8축 프레임은 방대한 스케일을 지니면서도 구조적 균형이 돋보이며, 대칭적이고 균형 잡힌 실루엣은 기계적 신뢰감을 극대화합니다. 팔 구조는 날렵하게 뻗어 있으며, 각 모터를 품은 팔은 직선과 완만한 곡선이 절묘하게 교차하며 시각적 긴장감을 형성합니다. 이는 드론이 지닌 파워와 역동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공기역학적 효율성까지 고려한 형태로 설계된 것입니다.

재료 선택 또한 디자인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HOONSTUDIO는 고급 항공 소재인 리얼 카본과 항공용 듀랄루민 합금을 주요 구조체에 적용하였습니다. 이 소재들은 기능적으로는 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시각적으로도 경량성과 고성능의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카본의 패턴은 외부 표면에 그대로 드러나며, 이는 기계의 성능에 대한 신뢰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기술미학적 정체성을 강화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소재의 조합은 57.3kg의 기체 자체 중량으로 117.3kg의 총중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프레임 설계는 비단 구조적 강성을 위한 것만이 아닙니다. 진동 억제 구조와 내화학 기술이 적용된 이 프레임은 장시간 비행 시에도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소모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입니다. 이는 특히 정밀도가 중요한 농약 살포 작업에서 드론이 일정한 고도(45m)를 유지하며, 균일한 살포 폭(912m)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시 말해, 기체의 강성과 형상은 드론의 안정성과 효율성이라는 성능적 가치로 전환되는 조형의 구조화입니다.

AF-120의 디자인은 기능성과 사용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60리터의 대용량 약제 탱크는 하부 중앙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무게 중심을 낮추고 균형감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비행 중 급격한 흔들림이나 방향 전환 시에도 안정적인 움직임을 가능케 합니다. 배터리(56,000mAh)와 내부 제어 시스템은 일체화된 모듈로 정리되어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으며, 이는 날렵하고 정제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유지보수와 접근성을 확보하는 구조입니다.

또한 8개의 모터는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제어되며, 일부 모터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시스템이 비행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다축 파워 시스템은 드론의 외형적 무게감과 조형적 강인함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며, 산업 기기의 신뢰성과 고성능을 시각적으로 체현하는 상징이기도 합니다.

전반적인 외형은 직관적인 실루엣을 갖추고 있어, 드론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도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되고 다가갈 수 있는 디자인입니다. 팔의 접이식 구조는 이동성과 보관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펼쳤을 때의 확장감은 시각적 임팩트를 극대화합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불필요한 디테일 없이 정제된 구조와 표면처리로 구성되어, 산업 제품임에도 고급스러운 조형미를 전달합니다.

결과적으로 AF-120은 단순히 성능 좋은 드론 그 이상입니다. HOONSTUDIO는 조형의 언어로 기술을 말하며, 형태의 질서를 통해 기능을 조직화했습니다. 이 제품은 대용량 기체의 스케일감을 지니면서도, 복잡하지 않은 라인 구성과 명료한 실루엣으로 ‘기능을 시각화한 형태’의 본보기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AF-120은 고기능·고효율 기체일 뿐만 아니라, 심미적 가치 또한 갖춘 산업 디자인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농업이라는 실용 중심의 영역에 디자인이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The AF-120 agricultural drone, designed by HOONSTUDIO for AFI, exemplifies the integration of industrial strength with refined design language. Its concept revolves around visualizing structural power and functional precision. With an expansive frame spanning 2.46 meters, the octagonal symmetry and the clean, stretched arms of its eight-rotor configuration evoke a strong sense of balance and mechanical trust. The form, defined by the interplay of sharp lines and subtle curves, creates both dynamism and stability in flight.

Materials such as real carbon fiber and aerospace-grade duralumin are used not only for their performance but for their visual and tactile quality. Exposed carbon weave textures heighten its high-performance identity while maintaining visual unity. The folding arm structure enhances portability and contributes to the drone's transformative silhouette, shifting from compactness to full-scale presence upon deployment.

The central tank, shaped with functional clarity and geometric simplicity, anchors the design visually and structurally. The clean, sealed surfaces, absence of exposed wiring, and efficient modular layout all contribute to a sleek, premium industrial aesthetic. Altogether, AF-120 stands as a refined expression of technical purpose and design discipline, redefining how agricultural machinery is perceived and experienced.


 

제품디자인회사 HOONSTUDIO

웹사이트: www.hoonstudio.com

이메일: ratiodesign@gmail.com

전화: 02-6013-1049 / 팩스: 02-6013-1048

주소: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1303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IBIO The Brain Vibroacoust  (1) 2025.05.20
SAM4S Sapphire POS Terminal  (0) 2025.05.20
CAT POS Design (japen)  (0) 2025.05.20
AFI_Pesticide Drone AF-52 Design  (0) 2025.05.20
MEGAGEN DENTAL CHAIR - N2  (0) 2025.05.20

+ Recent posts